본문 바로가기
[맘] : 마음과 정신건강/4. 정신건강사회복지

[1. 신경발달장애 (Neurodevelopmental Disorder)]

by 공감디자이너 하투빠 2024. 7. 10.

뇌의 발달이나 지연, 뇌의 손상과 관련된 중추신경계와 관련된 정신장애를 말한다. 발생원인은 심리사회적인 것보다 주로 뇌의 발달장애로 인해 생애 초기부터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1)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흔히 정신지체로 알려져 있는데, 표준화된 지능검사에 의한 지능지수(IQ)70 미만으로써 지적 발달장애라고도 불린다. 지능이 현저하게 낮아서 학습이나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나타낸다. 유전적 원인이나 출생 후 환경적 요인 또는 질병 및 뇌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낮은 지능지수와 함께 적응행동 및 기능의 결함과 장애를 말한다. 주로 18세 이전에 발현한다.

 

2)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

지능수준은 정상적이지만 대화에 필요한 말이나 언어사용에 문제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구어적 언어를 표현하거나 이해하는 것이 곤란하고, 자신의 연령에 적절한 언어구사력이나 리듬을 발성하거나 말하는 것이 어렵다. 언어장애, 발음장애, 아동기 발생 유창성 장애(말더듬), 사회적 소통장애가 있다.

 

3)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 장애를 나타낼 뿐 아니라 제한된 관심과 흥미를 지니며 상동적인 행동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장애를 포함하고 있다.

 

4)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집중의 어려움과 매우 산만하고 부주의한 행동, 그리고 자신의 행동을 적절하게 통제하지 못하고 충동적임 과잉행동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주의력 결핍형, 과잉행동형, 혼합형 등 세 가지 하위유형이 있다.

 

5) 특정 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

정상적인 지능과 정서를 지니고 있지만 지능수준에 비해 현저한 학습부진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장애는 학습의 기회나 교육적 자극이 부족하거나 학습과 관련된 뇌기능 영역의 결함이나 결핍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6) 운동장애(motor disorder)

나이나 지능수준에 비해 움직임이나 운동능력이 현저하게 미숙하거나 부적응적인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하위유형으로는 앉기, 기어 다니기, 걷기, 뛰기 등 운동발달이 늦고 동작이 서투른 발달성 운동조성장애가 있고, 아무런 목적 없이 특정한 행동패턴을 반복적으로 지속하는 정형적 동작장애가 있다. 이 장애는 학습장애,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등과 동반되기도 한다. 신체운동장애와 관련된 틱장애는 불수의적으로 얼굴근육이나 신체 일부를 갑작스럽게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신체의 일부를 움직이는 것을 운동 틱(근육 틱), 소리를 내는 것을 음성 틱이라고 한다. 틱 장애의 하위유형에는 뚜렛장애, 지속성 운동 또는 음성 틱 장애, 일시성 틱 장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