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 공유할 일상생활25 <Episode.18> 게으름뱅이, 미래에 대해 고민하다. 그럼에도 나는 여전히 정신건강 분야에서 일하고 있고,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일하고 싶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사람들과 소통하는 일을 하고 싶다. 지금 나는 병원에서 보냈던 시간들을 그리워하기에 아마 병원으로 돌아갈 것 같지만, 앞으로 어떤 일이 펼쳐질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지금 내가 처한 환경에서 최선을 다하고, 그 과정에서 찾아오는 기회를 잘 포착해야 할 것이다. 늘 그렇듯 내가 할 수 있는 건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한 가지 달라진 점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보다 나 스스로를 돌보고 아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것이다. 나는 게으른 사람이라서 한꺼번에 많은 것을 할 만큼 부지런하게 움직일 수 없다. 그리고 일 자체를 인생의 가치로 삼을 만큼 .. 2024. 5. 22. <Episode.17> 게으름뱅이, 사무실에 틀어 박혀서 지내다. 정신병원에서 일하면서 많은 것을 얻었는데, ‘정신건강 사회복지사’라는 자격을 갖게 된 것도 그 중 하나이다. 이는 정신건강과 관련된 기관에서 1년 동안 수련을 하고 시험을 치는 등의 모든 과정을 통과하면 얻게 되는 자격증이다. 사실 병원에서 일한 경력이 짧았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장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이 좋게 봐 준 덕분에, 병원 일을 하는 동시에 수련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함께 일한 사람들 덕분에 좋은 기회를 잡았지만, 한편으론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인정을 받은 것 같아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 마치 군 생활이 생각날 정도로 힘들었던 1년이었지만, 이를 참고 견딘 덕분에 무사히 수련 과정을 마치고 정신건강 사회복지사라는 자격을 취득할 수 있었다. 병원 일을 그만두고 얼마 지나지 않아 .. 2024. 5. 22. <Episode.16> 게으름뱅이, 정신질환자와 친구가 되다. 나는 사람이란 존재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람보다는 동물, 특히 애완동물을 더 좋아하는 편이다. 예전에 강아지를 키웠던 적이 있는데, 그 때 확실하게 알게 되었다. 내가 사람보다 동물을 더 좋아하고 신뢰하고 있다는 것을 말이다. 적어도 동물은 상대방에게 거짓말을 하지 않고,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표현한다. 나는 사람을 신뢰하지 않고,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 철저하게 경계선을 만든다. 다만 내가 만든 경계선은 ‘친절’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은 경계선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오랜 시간 나를 경험한 사람들은 대부분 이런 말을 한다. “도대체가 속을 알 수 없는 사람이네.” 당연한 말이다. 난 그들에게 한 번도 속내를 드러낸 적이 없으니 말이다. 그렇다고 .. 2024. 5. 22. <Episode.15> 게으름뱅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식이 바뀌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정신건강 분야에서 일하길 희망하던 나는 다를 거라 생각했지만, 나 역시 그들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 중 하나였다. 그래서 처음 병원에서 일을 시작할 때 괜히 겁을 먹고 움츠러들었던 것 같다. 입사 후 2주 정도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제법 고생을 했고,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도 했다. 하지만 긴장이 풀리고 정상적인 상태에서 바라본 현장은 오히려 그 동안 일했던 곳과는 다른 재미가 있는 곳이었다. 정확하게는 흥미를 느끼게 하는 포인트가 달랐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일을 하든지 업무 만족도를 높여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바로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힘든 일이라 할지라도 함께 .. 2024. 5. 22. <Episode.14> 게으름뱅이, 정신병원에서 일할 수 있을까? 정신병원 서류 전형 합격 후의 면접... 스스로 면접에는 강점이 있다고 생각했던 나에게는 아주 소중한 기회였다. 그리고 왠지 면접을 잘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도 있었다. 면접 당일, 현장에는 2명의 지원자만 있었다. 서류 합격자는 더 많았던 것 같은데, 실제로 면접을 보는 사람은 2명이 전부였다. 나 이외에 다른 한 명은 면접에 무조건 붙을 것 같은 인상을 가진 여자 지원자였다. 면접도 보기 전에 이미 떨어진 느낌이 들었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해 면접에 임했다. 신기하게도 면접 후 곧바로 추가 면담이 있었는데, 병원장의 말에 따르면 최종 합격자는 1명이지만 2명의 면접자 모두 마음에 들어서 고민 중이고, 병원 측에서는 추가 면담을 하고 싶다고 했다. 추가 면담을 진행한 후 두 사람 모두 합격을 하.. 2024. 5. 22. <Episode.13> 게으름뱅이, 다시 공무원을 준비하다. 사실 공무원을 준비하게 된 건 다소 감정적인 원인이 컸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일할 당시, 공무원들의 ‘갑질’을 참 많이 경험했더랬다. 실무에 대해 전혀 모르는 공무원이 현장을 평가하는 모습은 나에게 강한 반감을 심어줬다. 아이러니하게도 현장에서 일할 때 가졌던 그들에 대한 반감으로 인해 오히려 나도 공무원을 해야겠다는 마음을 불러 일으켰다. 딱 1년만 준비해보자는 마음으로 사회복지공무원이 되기 위한 공부를 시작했지만, 역시나 공부를 하는 건 쉽지 않았다. 공무원 학원에 등록하고 수업을 들으며 밤낮으로 공부를 했지만, 학창시절의 부족했던 기초가 여기서도 발목을 잡았다. 아무리 노력해도 영어 성적이 오르지 않았다. 다른 과목들은 점수에 여유가 있었는데, 언제나 영어가 아슬아슬했다. 성적 때문에 감정의 기복이.. 2024. 5. 2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