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맘] : 마음과 정신건강/1. 정신건강의 분류(DSM-5)

정신의학 용어 정리(5)

by 공감디자이너 하투빠 2024. 3. 29.

7. 기억(記憶, memory)

 

기억이란 정보를 뇌에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의식(consciousness)으로 재생(recall)하는 기능

 

1) 기억장애

 

• 기억상실증(amnesia)

과거에 경험한 것을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재생하지 못하는 것.

* 전향성 기억상실증(anterograde amnesia)

특정 시점 이후에 발생한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

* 후향성 기억상실증(retrograde amnesia)

특정 시점 이전에 발생한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

• 기억착오증(paramnesia)

재생의 왜곡 때문에 잘못된 기억을 하는 것.

* 회상성 조작증(retrospective falsification)

무의식적으로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 골라서 기억하는 것.

* 작화증(confabulation)

기억이 잘 나지 않는 부분을 실제 있지도 않은 사실들로 무의식적으로 메우는 것.

* 기시감(deja vu)

시각적 인지면에서 착각을 일으켜 새로운 상황을 이 전에 이미 경험했던 것으로 잘못 느끼는 것.

* 미시감(jamais vu)

시각적 인지면에서 착각을 일으켜 이 전에 경험했던 실제 상황을 한번도 경허하지 못했던 것처럼 잘못 느끼는 것.

• 기억과다증(hypermnesia)

저장과 재생이 지나치게 증가되어 있는 것. 쓸데없는 것까지 너무 자세히 기억한다.

• 직관상(eidetic image)

이전에 본 적이 있는 사건이나 사물이 마치 환각처럼 생생하게 보이는 시각적 기억.

• 차폐기억(screen memory, cover memory)

자신에게 고통을 주는 기억이 떠오를까 봐 의식적으로 자신이 견딜 수 있는 또 다른 기억으로 그 고통스러운 기억을 덮는 것.

 

2) 기억분류

① 자극 후 재생 시간간격에 따른 분류

• 즉각 보전 및 재생(immediate retention & recall)

어떤 일을 몇 초나 몇 분 동안 기억하는 것. 수초동안 정보를 등록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 최근 기억(recent memory)

최근 기억은 지난 몇일 동안 일어난 사건을 기억하는 것으로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고 매일 생활하면서 그것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 근래기억(recent past memory)

지난 몇 달간 일어난 사건을 기억하는 것. 지난 몇 달 동안 일어났던 중요한 일이 없느냐를 질문함으로써 알 수 있다.

• 과거기억(remote memory)

과거 생활사를 재생할 수 있는 능력, 아주 오랜 옛날을 기억해 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② 시간적인 기억저장 단계에 따른 분류

• 감각기억(sensory memory)

시각이나 청각계를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아주 짧게 저장하는 것으로 등록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단기기억(short-term memory)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소멸된다.

•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기억 저장 단계 중 중간단계. 단기간동안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지. 예행연습(rehearsal)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저장. 단기기억 용량은 제한되어 있어 다음 정보가 들어오면 쉽게 없어진다.

• 장기기억(long-term memory), 영구기억(permanent memory)

기억 저장 단계 중 마지막단계. 일정기간동안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정보를 재생을 통하여 working memory로 내어놓는다.

 

 

 

8. 주의집중력(attention and concentration)

 

• 주의력(attention)

어떤 주어진 시간에 정보를 처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정신적 자원의 총합은 제한되어 있다. 주의력이란 이 제한된 정신적 자원을 특정 목적에 맞도록 재분배하는 과정이다.

• 집중력(concentration)

특정 과제에 대해 주의력을 집중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9. 지능(知能, Intelligence)

지능이란 목적의식을 가지고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주위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전반적은 능력을 말한다.

 

• 추상적 혹은 언어적 지능(abstract or verbal intelligence)

상징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 추상적 사고(abstract thinking)

환자가 어떤 생각을 얼마나 잘 개념화하고 파악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주로 속담이나 두 가지 사물의 공통점을 물어본다.

• 실용적 지능(practical intelligence)

사물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

•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

사람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능력

•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in)

사회적, 직업적 수행에 방해가 될 정도로 지능이 낮은 것. 경도가 IQ 50(55)-70, 중증도가 35(40)-50(55), 고도가 20(25)-35(40), 최고도가 20(25)이하로 정의한다.

 

• 치매(dementia)

기질적인 원인 때문에 의식의 혼탁 없이 전반적인 지적기능이 황폐화 된 것.

 

 

10. 판단(判斷, Judgement)

 

판단(judgement)이란 어떤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면담 중에 환자가 사회적 판단을 가지고 있는지를 여러 방면에 걸쳐 자연스럽게 평가하여야 한다. 사회적 판단이란 자신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그리고 그 결과 때문에 자신의 행동을 조심하는 것이다. 또한 가상상황을 제시하고 환자가 그 상황에서 어떤 식으로 처신하는 지를 물어보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 비판적 판단(critical judgement)

어떤 한 상황을 놓고 환자가 평가하고, 분별하고, 여러 대안을 생각하여 가장 적절한 대안을 선택하는 능력

• 자동적 판단(automatic judgement)

어떤 행동을 깊이 생각하지 않고 조건적으로, 습관적으로 하는 것.

 

11. 병식(病識, Insight)

병식이란 환자 자신이 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알고 이해하는지를 의미한다.

 

• 완전한 부정(complete denial)

자신이 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완전히 부인하는 것.

• 지적 수준의 병식(intellectual insight), 부분부정(partial denial)

환자 자신이 병을 앓고 있으며, 자신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만, 그것이 병 때문이 아니고 자신의 실수나 잘못 생각했기 때문에 주위환경이나 다른 사람들 때문이라고 주장하건, 혹은 자신도 모르는 어떤 것에 의하여 병이 생겼다고 막연하게 말하는 경우다. 또 현재는 병의 증상이 없더라도 과거에 일어났던 망상이나 환각이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고 여전히 확신하고 있는 경우도 여기에 속한다.

• 감정적 수준의 병식(true, emotional insight)

환자 자신이 병으로 인해 자신에게서 일어난 변화를 마음 깊숙이 완전히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병나기 이전의 상태로 회복되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실제로 행동으로 옮긴다.

 

 

우리의 만남이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해소되는 기회가 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정신질환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감기 같은 것이니까요. 그럼 지금까지 [공감디자이너 하투A빠] 였습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

 

 

※ DSM-5에 정리되어 있는 카테고리별 정신질환 20가지를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신경발달장애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2.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3. 양극성 및 관련 장애
(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4. 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s)
 
5.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6. 강박 및 관련 장애
(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7.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Trauma-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8. 해리장애
(Dissociative Disorders)
 
9. 신채증상 및 관련 장애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10. 급식 및 섭식 장애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11. 배설장애
(Elimination Disorders)
 
12. 수면-각성장애
(Sleep-Wake Disorders)
 
13. 성기능부전
(Sexual Dysfunctions)
 
14. 성별 불쾌감
(Gender Dysphoria)
 
15.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Disruptive, Impulse-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16.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17. 신경인지장애
(Neurocognitive Disorders)
 
18. 성격장애
(Personality Disorders)
 
19. 변태성욕장애
(Paraphilic Disorders)
 
20. 기타 정신질환
(Other Mental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