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사고(思考, Thought)
사고란 어떤 문제나 과제가 주어지면 현실적인 결론을 내리기 위하여 특정 목표를 향해 여러 생각, 상징, 연상들을 사용하는 하나의 과정.
1) 사고형태(form, process)에서의 장애
*말하는 동안 생각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흘러가는 면에서의 이상. 사고형태에서 장애를 보인다는 것이 추론 능력에서의 이상(대표적인 것이 비논리성)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문장의 흐름이 이상하고 동일 주제에 대해 각 문장이 일관성 있게 연결되는 정도가 이상하다.
• 비논리적 사고(illogical thinking)
결론에 도달하는 방식이 논리에 맞지 않는 것. 추론 능력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 자폐적 사고(autistic thinking)
자신 내면의 사적 세계에 집착되어 있는 것.
• 마술적 사고(magical thinking)
자신의 생각, 말, 느낌, 행동 등이 어떤 힘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외부의 사건에 영향을 미친다고 비현실적으로 생각하는 것.
• 단순사고(concrete thinking)
추상적 의미와 문맥상의 의미는 이해 못하고 글자 뜻 그대로 파악하는 것.
• 연상이완(loosening of association)
생각이 한 주제에서 연관성이 없는 다른 주제로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 연상이완이 아주 심하면 지리멸렬(incoherence)로 나타난다.
• 우원증(circumstantiality)
연상이완의 가벼운 형태.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불필요하게 상세한 설명이나 언급을 너무 지나치게 섞어서 말하는 것.
• 사고이탈(tangentiality)
연상이완의 한 형태로 우원증(circumstantiality)보다는 더 심한 상태다 자신이 애초에 말하고자 하는 바와는 전혀 딴 방향으로 흘러가 버리는 것.
• 사고의 비약(flight of idea)
연상이완의 한 형태. 한가지 생각에서 통상적인 연상과정을 거치지 않고 다른 생각으로 급속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발전되면서 말하는 것.
• 질주사고(racing thought)
생각과 사고가 너무 빨리 떠오르고 진행되기 때문에 자신이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 지 따라잡기 어려운 것.
• 사고의 단절(blocking)
말의 빈곤(poverty of speech)의 아주 심한 형태로 어떤 사고나 생각이 끝나기도 전에 말의 흐름이 갑자기 중단되는 것.
• 보속증(perseveration)
새로운 자극이 주어졌는데도 이전의 자극에 집착하는 것으로 보통 인지적 장애 때문에 발생한다.
• 음 연상(clang association)
뜻은 전혀 틀리지만 소리가 비슷한 다른 단어를 연상하여 말하는 것.
• 신어조작증(neologism)
환자 특유의 심리적 이유 때문에 몇 개의 단어를 합성하여 환자만이 알 수 있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것.
• 지리멸렬(incoherence)
전혀 이해되지 않는 생각이나 말을 하는 것. 논리에도 맞지 않고 문법적으로도 맞지 않다.
• 말비빔(word salad)
여러 개의 단어나 구절을 지리멸멸하게 섞어 말하는 것. 지리멸렬(incoherence)의 심한 형태로 때로는 동일한 의미로도 사용.
• 부적절(irrelevance)
상대방의 질문에 적절하게 대답하지 못하는 것. 환자는 상대방의 질문을 무시하거나 관심이 없는 듯이 보인다.
• 반향언어증(echolalia)
상대방에게서 들은 마지막 단어를 병적으로 따라 말하는 것.
• 음송증(verbigeration)
상동증의 한 양상. 어떤 특별한 말이나 구절을 의미 없이 반복하는 것.
2) 사고내용(content)에서의 장애
• 사고편향 (overvalued idea)
망상만큼 확실하게 믿고 있지는 않지만, 합리적이지 않은 잘못된 믿음을 지속적으로 가지는 것.
• 망상(delusion)
현실적 근거가 전혀없는 잘못된 믿음. 지적 수준이나 문화적 배경과 일치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증명해도 교정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 기괴한/비기괴한 망상(bizarre/non bizarre delusion)
도무지 사실이라고는 믿기 어려운 괴상한 망상을 말한다.
• 체계화된 /비체계화된 망상(systematized/unsystematized delusion)
한 가지 단일의 사건이나 주제에 대하여 비교적 체계적으로 구성된 망상, 피해망상에서 가장 흔히 나타난다.
• 기분일치/불일치 망상(mood-congruent/incongruent delusion)
기분과 일치하는 내용/기분과는 전혀 연관성이 없는 망상.
• 고착된/비고착된 망상(fixed, encapsulated/unfixed delusion)
자신에게 일어나는 이해하기 어려운 여러 정신병적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환자 나름대로 그것을 정교하게 설명하는 과정 중에 생기는 망상.
• 편집망상(paranoid delusion)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망상 모두를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
• 편집증(paranoia), 편집사고(paranoid idea)
편집망상보다는 의심하는 정도가 약하지만,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의심하는 것. 애매모호한 사건이나 행동을 잘못 해석하여 타인을 의도적인 것으로 왜곡하고 그것을 점차로 강화해 나간다. 타인의 음모에 대해 어느 정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그 정도가 지나치면 편집망상으로 발전한다.
• 관계망상(delusion of reference)
별로 중요치 않은 다른 사람들의 말이나 행동, 혹은 주위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 자신에게는 특별한 의미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잘못 생각하는 것.
• 관계사고(idea of reference)
정상인에서도 나타난다. 관계망상과의 차이점은 기괴하지 않고 고착되어 있지 않은 점이다.
• 피해망상(delusion of persecutory)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이 부당하게 피해를 당하고 있다고 믿는 것. 자신이 부당하게 괴롭힘을 당하고(harassed), 속임을 당하고(cheated), 고통을 받는다고 잘못 믿는 것이다.
• 의심(suspiciousness)
정상에 가까운 가장 가벼운 형태. 타인이 자신에게 해로운 짓을 할 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것. 그렇지 안다는 증거를 대면 대부분 납득한다.
• 피해사고(idea of persecutory)
피해를 당하고 있다고 믿는 정도가 의심과 피해망상의 중간정도. 피해망상으로 발전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다.
• 과대망상(delusion of grandeur)
자신의 중요성, 가치, 능력, 힘에 대하여 현실감을 상실할 정도로 지속적으로 믿는 것. 가벼운 정도는 자기애적 성향이고 그 극단이 과대망상이다.
• 질투망상(delusion of jealousy), 부정망상(delusion of infidelity)
자신의 배우자나 애인이 타인과 성적관계를 가지고 있거나 부정한 짓을 하고 있다고 믿는 것.
• 자책망상(delusion of self-accusation)
그럴만한 일이 아닌데도 양심의 가책(remorse)이나 자책감을 망상적 수준으로 느낀다.
• 허무망상(nihilistic delusion)
자신, 타인, 혹은 이 세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종말을 고할 것이라고 믿는 것.
• 빈곤망상(delusion of poverty)
충분한 재산이나 부가 있는데도 자신이 재산을 완전히 다 잃고 알거지가 될 것이라고 믿는 것.
• 종교망상(religious delusion)
종교적인 성격의 잘못된 믿음에 집착하는 것.
• 신체망상(somatic delusion)
자신의 신체가 병들었거나, 비정상적이거나, 변했다고 믿는 것.
• 색정망상(erotomanic delusion, clerambault syndrome)
타인이 자신을 깊게 사랑한다고 생각하는 것.
• 피조종망상(delusion of being controlled) 또는 조종망상(delusion of control)
자신의 의지, 생각, 느낌, 감정, 행동 등이 외부의 힘에 의하여 조종당하고 있다고 믿는 것.
• 사고전파(thought broadcasting)
피조종망상의 한 형태. 자신의 생각이 방송을 통하여 널리 퍼지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을 들을 수 있다고 믿는 것.
• 사고삽입(thought insertion)
피조종망상의 한 형태. 타인이나 외부 힘에 의해 자신의 것이 아닌 어떤 생각이 자신의 마음속에 심어지고 있다고 믿는 것.
• 사고이탈(thought withdrawal, thought leakage)
피조종망상의 한 형태. 타인이나 외부 힘에 의하여 자신의 생각이 자신의 마음속으로부터 제거되고 있거나 혹은 자신의 마음으로부터 빠져나간다고 믿는 것.
• 집착사고(preoccupation of thought, thought trend)
어떤 특별한 생각에 몰두하거나 집착하는 것으로 강한 정서가 동반된다. 예를 들면, 피해의식, 자살, 타살에 대한 집착 등이다
• 자기우월광(egomania)
집착사고의 한 형태. 자기에게 병적으로 집착하는 것.
• 편집광(monomania)
집착사고의 한 형태. 어떤 대상에 대하여 병적으로 집착하는 것.
• 건강염려증(hypochondria)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맞지 않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떨쳐버리려고 노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생각이나 감정이 병적으로 지속되는 것.
• 강박사고(obsession)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맞지 않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떨쳐버리려고 노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생각이나 감정이 병적으로 지속되는 것. 혹은 자신의 생각이 비합리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하면서도 집착하는 것. 떨쳐버리려고 노력할수록 불안이 가중된다.
강박사고는 강박행동(compulsion)으로 나타난다.
• 욕설증(coprolalia)
외설적인 단어나 문장을 말하는 것. 음탕한 말을 충동적으로 말하는 것.
• 공포(phobia)
어떤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을 무서워하는 것. 여기에는 높은 장소를 무서워하는 고소 공포증(acrophobia), 공개된 장소를 무서워하는 광장공포증(agoraphobia), 밀폐된 장소를 무서워하는 폐소공포증(claustrophobia), 통증을 무서워하는 동통 공포증(algophobia), 붉은 것을 무서워하는 적색 공포증(erythrophobia), 남 앞에서 얼굴이 붉어지는 것을 무서워하는 얼굴 붉힘 공포증(fear of blushing), 낯선 사람을 무서워하는 낯선 사람 공포증(xenophobia), 고양이를 무서워하는 고양이공포증(ailurophobia), 동물을 무서워하는 동물 공포증(zoophobia), 곤충이나 거미 파리 등을 무서워하는 곤충공포증(bug phobia), 화장실 가기를 무서워하는 화장실 공포증(bathroom phobia), 더러운 것을 무서워하는 불결 공포증(mysophobia), 병을 무서워하는 질병 공포증(nosophobia), 암세포에 의해 몸이 잠식되는 것을 무서워하는 암 공포증(cancer phobia), 죽음에 대해 병적으로 공포를 느끼는 죽음 공포증(death phobia), 그리고 모든 것을 무서워하는 범 공포증(phnphobia)등 아주 다양하다.
•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다른 사람들 앞에서 창피 보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
• 자살사고(suicidal ideation)
죽고 싶은 소망은 있지만 구체적인 계획이나 실행은 하지 않는 것을 소극적 자살사고(passive suicidal ideation)라고 하고, 구체적인 계획아래 자살을 실행하는 것을 적극적 자살사고(active suicidal ideation)라고 한다.
우리의 만남이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해소되는 기회가 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정신질환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감기 같은 것이니까요. 그럼 지금까지 [공감디자이너 하투A빠] 였습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
※ DSM-5에 정리되어 있는 카테고리별 정신질환 20가지를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신경발달장애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2.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3. 양극성 및 관련 장애
(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4. 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s)
5.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6. 강박 및 관련 장애
(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7.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Trauma-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8. 해리장애
(Dissociative Disorders)
9. 신채증상 및 관련 장애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10. 급식 및 섭식 장애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11. 배설장애
(Elimination Disorders)
12. 수면-각성장애
(Sleep-Wake Disorders)
13. 성기능부전
(Sexual Dysfunctions)
14. 성별 불쾌감
(Gender Dysphoria)
15.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Disruptive, Impulse-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16.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17. 신경인지장애
(Neurocognitive Disorders)
18. 성격장애
(Personality Disorders)
19. 변태성욕장애
(Paraphilic Disorders)
20. 기타 정신질환
(Other Mental Disorders)
'[맘] : 마음과 정신건강 > 1. 정신건강의 분류(DSM-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의학 용어 정리(5) (0) | 2024.03.29 |
---|---|
정신의학 용어 정리(4) (0) | 2024.03.29 |
정신의학 용어 정리(2) (0) | 2024.03.29 |
정신의학 용어 정리(1) (0) | 2024.03.29 |
19. 변태성욕장애(Paraphilic Disorders) / 20. 기타 정신질환(Other Mental Disorders) (0)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