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맘] : 마음과 정신건강110

[17. 신경인지장애 (Neurocognitive Disorders)] 뇌의 손상으로 인해 의식, 기억, 언어, 판단 등의 인지적 기능에 심각한 결손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전에는 치매라고 불리었다.   1) 주요 신경인지장애(major neurocognitive disorder) 주의, 실행기능, 학습 및 기억, 언어, 지각-운동, 사회적 인지를 포함한 인지기능이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저하된 경우에 진단된다.  2) 경도 신경인지장애(minor neurocognitive disorder) 주요 신경인지장애와 유사한 인지기능의 저하가 경미하게 나타난다.  3) 섬망(delirium) 의식의 혼미, 주의집중과 전환능력의 현저한 감소, 그리고 기억, 언어, 현실판단 등 인지기능에 일시적인 장애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광범위한 뇌조직의 기능 저하 때문에 단기간에 발생하.. 2024. 7. 16.
[16. 물질 관련 및 중독장애 (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중독성 물질을 사용하거나 중독성 행위에 지나치게 몰두함으로써 발생하는 다양한 부적응적인 증상을 포함하고 있다.  1) 물질 관련 장애 물질 사용 장애, 물질 유도성 장애가 있다.  ⓵ 물질 사용 장애(substance use disorder)  물질의 오남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때 해당된다. 물질의존과 물질남용이 있다.  ⓐ 물질의존(substance dependence)  물질사용과 관련되어 심각한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물질을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인지적·행동적·신체적 증상이 있는 경우이다. 물질의존에는 내성과 금단증상이 수반된다.  ⓑ 물질남용(substance abuse)  원래의 목적과 다르게 물질을 지속적이며 의도적으로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이다.  ② 물질 유도성 장.. 2024. 7. 16.
[14. 성별 불쾌감 (Gender Dysphoria)] 자신의 생물학적 성과 자신이 경험하고 표현하는 성 행동 간의 괴리로 인하여 심한 고통과 사회적 곤란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전에는 ‘성 정체감 장애’라고도 불리었는데, 이들은 자신의 성과 다른 성이 되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을 가지고 있으며, 반대 성의 복장을 선호하거나 반대 성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등 다양한 행동을 나타낸다. 2024. 7. 16.
[13. 성기능 부전 (Sexual Dysfunctions)] 원활한 성행위를 방해하는 다양한 기능장애를 포함하고 있다. 남성과 관련된 성기능 부전에는 남성성욕감퇴장애, 발기장애, 조루증, 지루증이 있으며, 여성과 관련된 성기능 부전에는 여성 성적 관심/ 흥분 장애, 여성 극치감 장애, 생식기-골반 통증/ 삽입장애가 있다.  1) 남성 성욕감퇴장애(male hypoactive sexual desire disorder) 최소한 6개우러 이상 성적인 욕구를 지속적으로 느끼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2) 발기장애(erectile disorder) 성적 활동을 하는 동안 발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특징이다.  3) 조루증(premature ejaculation) 성행위 시에 자신이 원하기 전에 너무 일찍 사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4) 지루증(delayed ejacula.. 2024. 7. 16.
[12. 수면-각성장애 (Sleep-Wake Disorders)] 수면의 양이나 질의 문제로 인해 수면에 대한 불만과 불평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1) 불면장애(insomnia disorder) 자고자 하는 시간에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밤중에 자주 깨어나서 1개월 이상 수면 부족상태가 지속된다.  2) 과다수면장애(hypersomnolence disorder) 잠을 충분히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졸린 상태가 지속되거나 지나치게 잠을 많이 자는 것이 특징이다.  3) 기면증(narcolepsy) 주간에 갑자기 근육이 풀리고 힘이 빠지면서 참을 수 없는 졸림으로 인해 부적절한 상황에서 수면상태에 빠지는 것이 특징이다.  4) 호흡 관련 수면 장애(breathing-related sleep disorder) 수면 중 호흡곤란이 자주 나타나서 수면에 방해를 받는다.  5) .. 2024. 7. 16.
[11. 배설장애 (Elimination Disorders)]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주로 진단되는 장애로서, 대소변을 가릴 연령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옷이나 적절하지 않은 장소에서 배설하는 것이 특징이다.  1) 유뇨증(enuresis) 5세 이상의 아동이 신체적인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불수의적으로나 고의로 옷이나 침구에 반복적으로 소변을 보는 경우이다. 최소한 5세여야 한다.  2) 유분증(encopresis) 최소한 3개우러 동안 적당한 장소가 아닌 곳에 불수의적으로나 고의로 대변을 보는 것으로 발달 정도가 최소 4세여야 한다. 2024. 7. 11.